본문 바로가기

드론산업2

2050년 세계 플라잉카 절반이 아·태 지역서 운항..서울·도쿄·싱가포르 주목 2050년 세계 플라잉카 절반이 아·태 지역서 운항..서울·도쿄·싱가포르 주목 조회수 4천 2022. 03. 30. 08:47 수정 2050년까지 세계 eVTOL기의 절반이 아시아 지역에서 운항되고, 서비스 매출도 전세계의 40%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롤스로이스-롤랜드버거 컨설팅의 최근 보고서는 특히 일본 도쿄, 우리나라 서울과 싱가포르를 서비스 활성화 지역으로 주목했다. 전 세계에서 250여 회사가 첨단 eVTOL기 제작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진=각사, IEEE엔지니어링) 오는 2050년까지 아시아태평양(아태)지역 첨단항공이동수단(AMM) 서비스 시장서 운항될 전기식 수직이착륙(eVTOL)기 규모가 전세계의 절반인 8만 2,500대에 이른다. 서비스 매출은 전세계의 40%인 369억.. 2022. 3. 30.
드론산업 경쟁력 높인다..2025년까지 국내시장 1조원 규모 확대_경향신문 드론산업 경쟁력 높인다..2025년까지 국내시장 1조원 규모 확대 경향신문 | 김희진 기자 | 입력2021.12.15 17:01 | 수정2021.12.15 17:05 지난해 11월 열린 국토교통부의 UAM 실증행사에서 무인 드론택시가 서울 여의도 주변 상공을 비행하고 있다. 국토부 제공 정부가 2025년까지 드론 상용화 성공모델 20개를 발굴해 세계 7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국내 드론시장 규모는 1조원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15일 국토교통부는 제2회 드론산업협의체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일상 속 드론 상용화 지원을 통한 드론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우선 드론 상용화 촉진을 위해 비행 관련 규제가 면제되는 특별자유화구역 2차 공모를 내년 9월 추진한.. 2021.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