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자!(서예 Korean Calligraphy)/한시 및 명구 모음

[한시 모음] 퇴계 이황 선생 7언율시, 5언율시

by 드론타고 여행 2022. 4. 19.
반응형

도산서원

 

1. 迎勝村留題四樂亭癸卯正月初四日

영승촌에 머무르며 사락정을 제목으로 짓다. 154314

 

迎勝村舊名迎送爲其不雅改送爲勝取其聲相近也村有泉石之勝且時方早春景物向新故謂之迎勝所以記一時之勝也四樂亭臨溪新構往年余所名而寄題者也

영승촌의 옛 이름은 영송이다. 그 이름이 아름답지 못하여 ()’()’으로 바꿈에 있어 소리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였다. 이 마을은 산수(山水)가 빼어나고 또한 마침 이른 봄이라 경치가 새로워지려 하고 있었다. 그래서 영승(迎勝)’이라 하였다. 한 때의 좋은 경치를 기록하는 것은, 사락정(四樂亭)이 시내 곁에 새로 지었는데 몇 해 전에 내가 이름을 붙이고 시를 지어 보내주었기 때문이다.

 

迎勝村中迎早春(영승촌중영조춘) 영승 마을에서 이른 봄을 맞이하니

眼中梅柳已爭新(안중매류이쟁신) 눈앞에는 매화와 버들 이미 새싹을 다투네

東風欲動先林杪(동풍욕동선임초) 봄바람이 먼저 나뭇가지 끝에 찾아오고

北雁將歸且水濱(북안장귀차수빈) 북쪽 기러기는 장차 물가에서 돌아가려하네

誰作月潭揮弄客(수작월담휘롱객) 누가 농월담의 달빛을 희롱하는 객이 되겠는가

我曾雲構寄題人(아증운구기제인) 나는 일찍이 사락정이라 지름 지어준 사람이네

尊前莫說霜臺事(준전막설상대사) 술항아리 앞에서 어사대의 일 말하지 마라

野趣方欣愜素眞(야취방흔협소진) 야인의 아취 흔쾌하여 본디 참모습 흡족하네

弄月潭在前溪(농월담재전계) 농월담은 앞 시내에 있다

 

 

2. 寄題四樂亭幷序

사락정 시를 지어서 보내다. 아울러 서문을 쓴다.

 

安陰縣有村曰迎送山水淸麗土地沃饒有全氏世居之舊構亭溪上頗幽絶外舅權公自謫所歸攜家南往寓居是村得是亭而說之晨往而夕忘歸以書抵京求亭名與詩余飽聞勝槩欲一往而不得者今十年矣顧以村居之中可樂者非一求其可與衆樂者又可以獨樂者惟農桑漁樵四者爲然故名亭曰四樂而係以詩

안음현(安陰縣)에 마을이 있는데, 그 이름을 영송(迎送)이라 한다. 산과 물은 맑고 고우며, 토지는 살지고 넉넉하다. 여기는 전씨(全氏)가 옛날부터 대대로 살던 곳인데, 시냇가에 정자를 지었는데 자못 그윽하다. 장인 권공(權公)이 귀양살이에서 돌아오자, 온 집안을 이끌고 남으로 가서 이 마을에 우거(寓居)하였다. 이 정자를 발견하고는 매우 기뻐하여 새벽에 가서는 저녁이 되어도 돌아오기를 잊곤 하였다. 그러다가 서울에 있는 내게 글을 보내어, 정자 이름과 함께 그에 따른 시를 청하였다. 나는 그곳의 훌륭한 경치를 익히 들은 터라 한번 가 보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지 10년이 되었다. 생각해 보면 촌에서 살면서 즐길 만한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거기서 여러 사람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것과 또 혼자서도 즐길 만한 것을 찾아본다면 농사짓기와 누에치기, 고기잡기와 나무하기의 네 가지가 있다. 그래서 정자 이름을 사락정(四樂亭)’이라 하고, 이어서 시를 짓는다.

 

 

我識田家樂(아식전가락) 나는 농가의 즐거움을 아니

春耕破土烟(춘경파토연) 봄에 밭 갈면 흙 부수는 먼지가 이네

苗生時雨後(묘생시우후) 새싹은 단 비 뒤에 돋아나고

禾熟晩霜前(화숙만상전) 벼는 늦서리 오기 전에 익는다네

玉粒充官稅(옥립충관세) 옥 같은 쌀은 나라의 조세를 채우고

陶盆會俗筵(도분회속연) 오지술동이는 마을 사람 잔치에 알맞네

何如金印客(하여금인객) 어떠한가, 벼슬아치

憂患送流年(우환송류년) 걱정 근심으로 세월을 보내는 것과는

右農(우농) 농사짓기

 

我識蠶家樂(아식잠가락) 나는 누에치는 집의 즐거움을 아니

年前曲簿修(연전곡부수) 지난해에 누에 채반을 수리해 두었네

光陰催種浴(광음최종욕) 누에씨 물에 담그는 때가 닥쳐오면

眠起趁桑柔(면기진상유) 잠 깨자마자 어린 뽕잎 따러 가네

已喜全家煖(이희전가난) 온 식구들 따뜻이 입는 것 기쁜 데다

無憂欠債酬(무우흠채수) 빚도 다 갚았으니 걱정 없네

何如紈綺子(하여환기자) 어떠한가, 비단옷 입은 여자가

嬌艷妬閒愁(교염투한수) 아리땁게 차리고 질투하느라 근심하는 것과는

右桑(우상) 누에치기

 

我識漁家樂(아식어가락) 나는 고기 잡는 집의 즐거움을 아니

柴門住岸傍(시문주안방) 사립문을 단 물가의 집에 사네

禽魚慣情性(금어관정성) 물새와 고기들의 성정에도 익숙하고

雲月老滄浪(운월노창랑) 구름과 달, 맑은 물결과 함께 늙어가네

喚酒村酤美(환주촌고미) 술을 사오면 촌 술도 맛이 나고

烹鮮澗芼香(팽선간모향) 생선을 삶으면 시내 나물도 향기롭네

何如萬錢客(하여만전객) 어떠한가, 하루에 만 전(萬錢) 어치 먹는 사람이

覆餗禍難量(복속화난량) 망할 때에()가 헤아릴 수 없는 것과는

右漁(우어) 고기잡기

 

我識樵人樂(아식초인락) 나는 나무꾼의 즐거움을 아니

生居洞裏村(생거동리촌) 산골 마을에서 살아간다네

相呼入雲遠(상호입운원) 서로 불러 구름 속 멀리 들어갔다가

高擔出山昏(고담출산혼) 한 짐 가득 지고 어두워서야 산에서 나오네

愛伴心同鹿(애반심동록) 동무를 사랑하는 마음은 사슴과 같고

忘形貌似猿(망형모사원) 치장을 잊어서 모습은 원숭이와 같아라

何如名利子(하여명리자) 어떠한가, 명리를 쫓는 자가

平地見波翻(평지견파번) 평지에 풍파를 당하는 것과는

右樵(우초) 나무하기

 

 

3. 寄題搜勝臺 수승대에 대해 시를 지어 부쳐주다

 

安陰古縣有石臨溪俗名愁送臺泉石最勝余於是行以不暇往見爲恨亦嫌其名之不雅欲改爲搜勝諸公皆肯之

옛 안음현 시냇가에 바위가 있는데 속명이 수송대(愁送臺)이다. 산수가 아주 빼어났는데 나는 이번 나들이에 여가가 없어 가서 보지 못한 것이 한스럽다. 또한 그 이름이 아름답지 못하여 수승(搜勝)으로 고치고자 하니 제공들께서 모두 동의해주었다.

 

搜勝名新換(수승명신환) 수송을 수승이라 새롭게 이름했는데

逢春景益佳(봉춘경익가) 봄을 만난 경치 더욱 아름답구나

遠林花欲動(원림화욕동) 저 먼 숲속 꽃들은 막 피려하고

陰壑雪猶埋(음학설유매) 응달진 골짝엔 눈이 아직 남았구나

未寓搜尋眼(미우수심안) 이 몸 아직 수승대 가보지 못했고

唯增想像懷(유증상상회) 오직 마음속에 상상만 늘어가누나

他年一尊酒(타년일준주) 언젠가는 술 한 동이 메고 가서

巨筆寫雲崖(거필사운애) 큰 붓으로 높은 벼랑 그려보리라

댓글